기성 작가의 작품을 읽을 때는 그 작가의 전작 계보에서 이 작품이 차지하는 위치와 영향 관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하물며 그것이 만년에 이른 대가의 작품이라면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그 작가가 자신만의 확고한 원형적 세계관을 끊임없이 변주해 온 무라카미 하루키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은 그 기원을 파고들면 하루키가 40여 년 전에 발표한 단편소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니 하루키의 문학세계의 중심을 그야말로 정확하게 가로지르는 소설로 봐도 좋을 듯하다. 하루키 소설을 관통하는 화두는 관계 단절(보통 일방적인 방식으로)이다. 그는 리얼리즘 계열의 소설(노르웨이의 숲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이든 초현실주의 기법이 가미된 소설(세상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태엽을 감는 새)이든 하나같이 관계의 상실과 그 상실을 견뎌내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노르웨이의 숲』이 한국에서 최초로 『상실의 시대』로 소개된 것은 상당히 의미가 깊다.) 그리고 주인공이 겪는 상실은 필연적으로 여정을 수반한다. 잃어버린 것을 찾기 위해 계속해서 헤매는 인물들의 여정이 굳건한 하루키월드를 구성하는 것이다. 백일장 시상식장에 나란히 앉게 된 남녀 고등학생이 편지를 주고받으며 만나 사랑을 키워가는 청춘 연애물이었을지도 모르는 도입부의 이야기가 확장되고 깊이를 얻게 되는 지점은 시공간을 비틀어 관계를 새롭게 정의한 기교에 있다. 현실 세계의 ‘나’와 ‘너’는 서로를 안은 채 키스를 할 수 있고 서로를 욕망할 수 있지만 결국 완전한 결합에는 실패하고 만다. 네를 찾을 수 없는 곳으로 떠나버렸기 때문이다. 한편 ‘도시’ 속 ‘당신’은 ‘나’와 같은 공간에서 일하고 집으로 가는 길을 늘 함께하지만 ‘나’를 기억하지 못한다. 그곳에 흘러온 ‘나’와 ‘당신’ 사이에는 시차가 존재하는 이유다. 현실에서 공간의 단절로 소통하지 못했던 인물들은 도시 안에서는 한 공간에 있지만, 시간이 엇갈려 소통에 실패하고 마는 것이다. 도시를 둘러싼 벽은 이 두 세계를 무심하게 나누고 나로 하여금 반대편 세계를 계속 상상하게 한다. ‘당신’의 ‘본체’가 있는 이 도시는 ‘나’에게 그림자를 버리고 ‘본체’만 남길 것을 강요한다. 그림자를 버린 자만이 도시에 받아들여진다는 규칙은 도시의 벽과 함께 두 세계의 소통을 방해한다. 도시 속의 생활이란 그림자와 분리된 채 벽 밖의 모든 기억을 남기고 정지된 시공간을 살아가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본체라고 주장하는 도시 사람들이야말로 흔히 사용하는 메타포 그대로 ‘그림자’ 같은 존재라는 의혹이 생긴다. 본체의 일부는 「꿈」이라고 하는 형태로 이 도시의 도서관에 박제되어, 도시에 남은 사람은 그 본체의 흔적을 더듬는 그림자인 것이다. 본체와 그림자가 분리되는 순간 두 자아는 진위가 혼동되고 도시와 현실 세계의 경계는 모호해진다. 두 자아는 결국 어느 세계에서도 만족하는 삶을 누리지 못한다. 원래 「도시」라고 하는 세계는 어떻게 기능하는가. 이 도시로 흘러드는 이들은 ‘시간’이 ‘움직임을 딱 멈췄다’고 느끼거나 말 그대로 ‘현실 세계와 마음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다. 그들은 마음으로 도시를 원한다. 한낮의 지루함이 앨리스를 토끼굴로 이끈 것과 같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뿐만 아니라 <오즈의 마법사>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라도 상관없다. 인물을 다른 세계로 이끄는 힘은 언제나 현실이다. 지루하든 불안하든 외부의 힘이든 현실에서 불만의 상태에 놓인 자아는 항상 새로운 세계를 갈망하는 법이다. 말하자면 도시의 벽은 그들의 욕망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벽을 뚫는 것은 일종의 성인식이다. 이야기를 좀 더 확장하면 이 도시는 백일장에서 입상한 두 고등학생이 함께 만든 것으로 이들의 행위 자체가 창작을 은유하는 메타픽션으로 읽히기도 한다. 이탈로 카르비노가 그의 ‘보이지 않는 도시’에서 정성껏 창조한 도시처럼 점점 더 선명하게 실체를 이루는 도시의 모습은 창작자의 손으로 차곡차곡 쌓아올린 이야기 같다. 인물들은 도시를 구성하는 많은 것에 구체성과 의미를 부여하지만 그 본질은 낯설고 모호하다. 중세 성벽을 연상시키는 벽은 물론 망루나 문지기, 일각수 같은 시대를 가늠하기 어려운 것들을 소환해 환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창작자의 손을 떠나 스스로 생명력을 얻게 되는 허구의 세계처럼 일단 완성된 그 도시는 세포처럼 자가 증식한다. 이제 이 도시는 독자적인 유기체로 보인다. 이 도시에 관한 한, ‘나’는 어떠한 지배력도 행사할 수 없다. 도시에 남고 싶지만 어떤 이유로 현실 세계로 보내져 그 도시로 가려는 옐로 서브마린 소년을 도울 수는 없다. 다시 도시로 보내졌을 때도 이유를 알 수 없다. 도시 앞에서 나는 무력하다. 도시의 무기력함을 끝내는 유일한 방법은 자신을 받아들이는 사람의 존재를 믿는 것이다. 다시 말해 현실세계를 긍정하는 것이다. ‘나’는 소년 시절 유일하게 ‘영속적인’ 것이라고 믿었던 ‘비가 쏟아지는 드넓은 바다 광경’을 떠올리며 자신의 의지로 ‘불확실한 도시의 벽’을 뚫고 가고자 한다. 만년의 하루키는 의식의 무기력을 극복하고 현실을 긍정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기성 작가의 작품을 읽을 때는 그 작가의 전작 계보에서 이 작품이 차지하는 위치와 영향 관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하물며 그것이 만년에 이른 대가의 작품이라면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그 작가가 자신만의 확고한 원형적 세계관을 끊임없이 변주해 온 무라카미 하루키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은 그 기원을 파고들면 하루키가 40여 년 전에 발표한 단편소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니 하루키의 문학세계의 중심을 그야말로 정확하게 가로지르는 소설로 봐도 좋을 듯하다. 하루키 소설을 관통하는 화두는 관계 단절(보통 일방적인 방식으로)이다. 그는 리얼리즘 계열의 소설(노르웨이의 숲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이든 초현실주의 기법이 가미된 소설(세상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태엽을 감는 새)이든 하나같이 관계의 상실과 그 상실을 견뎌내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노르웨이의 숲』이 한국에서 최초로 『상실의 시대』로 소개된 것은 상당히 의미가 깊다.) 그리고 주인공이 겪는 상실은 필연적으로 여정을 수반한다. 잃어버린 것을 찾기 위해 계속해서 헤매는 인물들의 여정이 굳건한 하루키월드를 구성하는 것이다. 백일장 시상식장에 나란히 앉게 된 남녀 고등학생이 편지를 주고받으며 만나 사랑을 키워가는 청춘 연애물이었을지도 모르는 도입부의 이야기가 확장되고 깊이를 얻게 되는 지점은 시공간을 비틀어 관계를 새롭게 정의한 기교에 있다. 현실 세계의 ‘나’와 ‘너’는 서로를 안은 채 키스를 할 수 있고 서로를 욕망할 수 있지만 결국 완전한 결합에는 실패하고 만다. 네를 찾을 수 없는 곳으로 떠나버렸기 때문이다. 한편 ‘도시’ 속 ‘당신’은 ‘나’와 같은 공간에서 일하고 집으로 가는 길을 늘 함께하지만 ‘나’를 기억하지 못한다. 그곳에 흘러온 ‘나’와 ‘당신’ 사이에는 시차